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출생 : 1788년 2월 22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단치히
(現 폴란드 포모르스키에 주 그단스크)
사망 : 1860년 9월 21일 (향년 72세), 독일 연방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국적 : 독일 연방
직업 : 철학자
독일의 철학자.
쇼펜하우어는 자신이 칸트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였으며 칸트의 사상을 올바르게 이어받았다고 확신했다. 또한 당대의 인기 학자였던 헤겔, 피히테, 셸링 등을 칸트의 사상을 왜곡하여 사이비이론을 펼친다며 강력히 비판했다. 쇼펜하우어가 박사학위 논문으로 쓴 <충족이유율의 네 겹의 뿌리에 관하여>는 철학(인식론)의 고전이 되었다. 20대의 젊은 나이 때부터 수년 간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를 쓰기 시작하여 1818년에 출간하였다. 대학강의에서 헤겔과 충돌한 후 대학교수들의 파벌을 경멸하여 아무런 단체에도 얽매이지 않고 대학교 밖에서 줄곧 독자 연구 활동을 지속하였다. 이후 자신의 철학이 자연과학의 증명과도 맞닿아 있음을 <자연에서의 의지에 관하여>라는 책에서 주장했다. 그 뒤에 윤리학에 대한 두 논문을 묶어 출판하였다.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가 출판된 지 26년이 지난 1844년에 개정판을 출간하였다. 이후 <소품과 부록>라는 인생 전반에 관한 수필이 담긴 책을 출간했고 이 책은 쇼펜하우어를 유명 인사로 만들었다.
쇼펜하우어의 서적들은 주장이 굉장히 명쾌하다. 동시대 인기 철학자인 헤겔과 비교했을 때 헤겔은 현학적인 문장으로 읽는 사람을 난해하게 하는 반면 쇼펜하우어의 문장은 명료하고 지시성이 있다. 그의 저서에서 언어철학적 입장이 잘 드러나는 이유이기도 하다.
쇼펜하우어는 1820년 대에 동양학자 프리드리히 마이어를 통해 힌두교와 불교에 관해 알게 되었다. 이 종교들의 핵심교리 속에 자신과 칸트가 도달한 결론과 같은 것이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먼 과거의 동양 사상가들이 서양과는 전혀 다른 환경, 언어, 문화 속에서 근대적인 서양철학의 과제에 대해서 같은 결론을 말한다고 생각했다. 이 발견을 쇼펜하우어는 글로 써서 남겼고 서양에서 최초로 동양 철학의 세련된 점을 독자들에게 알려주었다. 쇼펜하우어는 서양 철학과 동양 철학 간의 유사성을 말한 철학자이자 자신이 무신론자임을 표명한 독창적인 철학자로 손꼽힌다. 19세기 말에 유행하여 수많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쇼펜하우어는 세계를 '표상의 세계'와 '의지의 세계', 이렇게 두 부분으로 나눈다. 하지만 사실 '표상의 세계'는 인간이 인식함에 있어서 왜곡된 가상(기만)에 불과하므로 사실상 쇼펜하우어는 '의지의 세계'를 세계의 본질이라고 생각한다.
표상의 세계: 인식론으로 파악한 세계. 인식 과정만으로는 칸트가 말한 '물자체'를 알 수 없다. 우리는 단지 그 '물자체'에 관련된 인식 표상만을 얻을 수 있을 뿐이다. 이러한 인식 표상은 충분근거율(충족이유율)에 의해 조건 지어진다. 표상들의 관계를 조건 짓는 충분근거율에는 '시간과 공간', '인과율', '동기', '논리 규칙'이 있다.
의지의 세계: 나의 신체로부터 알게되는 세계. 유추해 보면 무생물의 '힘'조차도 일종의 '의지'라는 것이 쇼펜하우어의 주장이다. '의지'는 세상의 본질이므로 칸트의 '물자체'는 바로 '의지'와 다를 바 없다. '의지'는 충분근거율에 의해 조건 지어지지 않으므로, 시간과 공간, 인과율, 동기, 논리 규칙과 무관하게 존재한다.
(하지만 의지의 세계가 본질이 되는 것은 인간 사회에서 구성원 사이에 양자 모두가 지성의 수준이 어느 정도 레벨에 도달했을 때 서로 간의 공감과 유대감 속에서 형성이 되는 것이 아닐까? ^^;;)
그런데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의지는 나누어지지 않는 것이다. 우주 전체가 하나의 의지다. 그것을 우리가 억지로 인식론의 관점에서 하나하나 구별하여 나누는 것일 따름이다. 이를 개별화의 원리라고 한다. 이 개별화의 과정에서 충분근거율이 개입한다. 충분근거율이란 '시간과 공간', '인과율', '동기', '논리 규칙'을 말하는데, 하나의 의지를 시간과 공간으로 특정짓고, 원인과 결과로 구분하며, 논리적인 규칙을 세우고, 행위에 따른 동기를 찾는 것을 통해서, 개별적인 것으로 나누어져 인식된다는 것이다.
다만 쇼펜하우어는 여기서 다소 논쟁적인 개념을 도입한다. 그는 의지가 맹목적으로 요동치는 과정에서 수많은 다양한 단계들의 의지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 의지는 본래 하나의 의지이긴 하지만 '부분적으로는' 여러 의지들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의지들은 플라톤의 이데아와 비슷한 개념으로 규정될 수 있는데, 이를 '의지의 객관화' 또는 '이념(idee)'이라고 부른다.
(플라톤의 이데아는 수학적, 기하학적으로 추론하여 구체적인 형상을 정의할 수 있는 반면 쇼펜하우어의 이념은 예술가적 직관으로 형성되는 이상적인 형태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전자가 좀 더 객관적이고 분석적이라면 후자는 주관적이고 추상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플라톤이 모호하고 쇼펜하우어가 더 명확하게 전달이 되는 느낌이긴 한데 그건 두분의 표현 스타일이 달라서일까...? 앎과 전달은 역시나 괴리가 있다..)
그리고 이 의지의 이념들이 충분근거율에 의해 시간과 공간, 인과율, 동기, 논리 규칙으로 구분되어 인식될 때야 비로소 개체들로 특정되어 개별화된다는 것이 쇼펜하우어의 주장이다. 꽃을 예로 들면, 이데아와 같은 꽃의 본질이 있고, 이것이 꽃이라는 의지의 '이념'이다. 이 '이념'을 충분근거율을 통해 '인식'해야 비로소 각각의 구체적이고도 개별적인 꽃으로 나누어진다. 즉, 의지와 표상 사이를 매개하는 역할을 이념이 한다.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보통 우리는 표상의 세계에 살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으며, 표상의 세계에서 원인, 동기, 이유, 구별 등의 개별화의 논리로 인해 각 개체들로 구분되어 있다고 믿는다. 하지만 실제로는 본능적으로 자신의 의지대로 행할 뿐이고 그 이후에 자신의 행동을 논리적인 것으로 합리화하는 것일 따름이라는 게 쇼펜하우어의 주장이다. 즉, 구분된 각 개체들의 표상 밑에는 의지가 숨겨져 있어서 의지의 명령대로 행동하고 있지만 각자는 구분되어 있다고 착각하는 상태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러한 각 개체는 자신이 지닌 의지가 자신만의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 의지의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서로 싸우게 된다. 이로서 홉스가 말했던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이 일어난다. 그러한 세상은 자신을 개별체라고 생각하는 맹목적인 부분 의지가 자신의 표상적 욕망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이기적인 세상이다. 그러나 그들은 본질적인 의지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표상적 욕망을 충족시킬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결코 충족되지 않는 욕망을 가지게 되며, 그로 인해서 인간은 끊임없이 괴롭고 고통스럽다.
(모든 인간에게 다 적용되는 것이긴 하겠지만 특히나 감정형, 에니어그램 4번, MBTI INFP/J인 사람들에게 더 와닿는 구절일 듯 하다)
그러나 우리가 개별적인 것을 뛰어넘어 직관적으로 의지의 이념을 포착해낼 수 있다면, 이 이념에 대한 통찰을 통해 결국 그 의지가 하나의 우주 의지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될 것이고, 그러한 앎에서 '나'와 '너'는 더 이상 구분되지 않기 때문에 서로 싸울 필요도 없을 것이다. 또한 이념에 대한 통찰을 통해 서로가 하나의 의지임을 알게 된다면, 서로는 서로에 대해 동정심을 가지게 될 것이고, 이로서 서로를 구분함으로써 발생하는 '욕망으로 인한 고통'도 사라지게 될 것이다. 쇼펜하우어에 의하면, 광기를 가진 예술가적 천재만이 자신의 관심, 의욕, 목적은 전혀 안중에 두지 않은 채, 순수하게 직관에 몰입하여 이러한 이념을 포착해낼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관중들은 그 천재의 예술 작품을 '관조'함으로써 세계가 하나의 의지임을 깨닫고는 삶의 고통을 잠시나마 완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관조'의 방식은 일시적이다. '관조'가 끝나면 우리는 다시 '표상의 세계'에 빠져 욕망을 추구하고 욕망에 의한 고통으로 괴로워하는 일을 반복할 것이다. 그래서 더 본질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쇼펜하우어의 생각에 의하면, 그 방법이란 의지의 방향을 되돌려 의지 상태를 무(無)로 만드는 전략으로서, 개별적인 의지가 일어날 때마다 그 의지를 부정하는 것, 그리하여 자기 자신만을 위한 욕망을 억제하는 것, 즉 자기-금욕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다. 개별적인 삶 자체가 '표상이라는 가상'이 만들어낸 고통이기 때문에, 이기적인 마음에서 비롯된 '삶에의 의지'를 부정하는 것이야말로 삶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는 것이다. 이런 개체적 의지의 부정을 통해서야 비로소 우리는 진정한 의미에서 의지 전체가 본래 하나임을 깨닫게 되고, 이로써 우리는 우리의 욕망에서 벗어나 욕망이 만들어내는 삶의 고통에서 해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이다. 쇼펜하우어는 그것이 불교의 열반과 같은 것이라고 본다.
(이래서 명상과 수양은 한번 시작하면 계속 끊임 없이 멈출 수가 없는가 보다. 무언가 알듯 모를 듯 깨달음을 얻을 때 솟아나는 도파민도 무시 못하겠다 ㅎ)
쇼펜하우어의 명언
인류는 내게서 몇 가지를 배웠고 그걸 잊어버리지 않을 것이다.
진정한 철학에서는 행간의 눈물과 울부짖음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부드득 가는 소리와 다들 죽고 죽이느라 아우성치는 끔찍한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면 그건 철학이 아니다.
인생은 고통과 권태 사이에서 왔다 갔다 하는 시계추와 같다.
인간의 가혹하고 불쌍한 많은 운명 중에서 가장 안타까운 것은 우리가 어디로 가고, 어디에서 왔으며, 무엇 때문에 존재하는지 알지 못하고 살아간다는 점이다.
불행과 고뇌를 겪을 때 누구나 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위안은 우리보다 더 불행한 자를 바라보는 것이다.
인생이란 어떻게든 끝마쳐야 하는 힘든 과제와 같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나는 인생을 견뎌 냈다"라는 말은 멋진 표현이다.
사람들은 자신의 내적 만족이 부족할수록 남들에게 행복한 사람으로 보이기를 바란다.
독서는 스스로 사고하기의 단순한 대용품에 불과하다. 독서를 하면 남의 생각에 자신의 사고가 끌려다닌다.
행복을 구체적으로 누릴 능력이 더 이상 없는 사람은 마음을 온통 돈에 바친다.
우리는 우리의 삶에서 중요한 사건들의 진정한 연관성을, 종종 그것들이 일어나는 동안이나 그 직후에는 이해하지 못하고 상당한 시간이 흐르고 나서야 비로소 이해한다.
우리는 오늘이라는 날이 단 한 번뿐이고 두 번 다시는 찾아오지 않는 것임을 항시 명심하는 게 좋을 것이다.
인간은 헛되이 신들을 만들지만, 신들에게 구걸하고 아부하여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곤 자신의 의지력이 초래할 수 있는 것만에 불과하다.
인간은 자신의 결점이나 악덕은 깨닫지 못하고 타인의 결점이나 악덕만 알아챈다.
세상이란 실은 지옥이다. 인간은 한편으론 들볶이는 영혼이고, 다른 한편으론 그 영혼 속의 악마이기도 하다.
쇼펜하우어의 저서
충족이유율의 네 겹의 뿌리에 관하여
Über die vierfache Wurzel des Satzes vom zureichenden Grunde
1813년
시각과 색채에 관하여
Über das Sehen und die Farben
1816년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 Vol. 1
1818년/1819년
논쟁적 토론술
Eristische Dialektik: Die Kunst, Recht zu Behalten
1831년
자연에서의 의지에 관하여
Ueber den Willen in der Natur
1836년
인간 의지의 자유에 관하여
Ueber die Freiheit des menschlichen Willens
1839년
도덕의 기초에 관하여
Ueber die Grundlage der Moral
1840년
윤리의 두 가지 근본 문제
Die beiden Grundprobleme der Ethik
1841년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개정판)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 Vol. 2
1844년
소품과 부록
Parerga und Paralipomena
1851년
쇼펜하우어. 《충족이유율의 네 겹의 뿌리에 관하여》. 김미영 옮김. 나남출판, 2010. - 김미영의 역서는 모두 완역본이다.
쇼펜하우어.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홍성광 옮김. 을유문화사, 2019. - 2019년에 출간 200년 기념 전면 개정판으로 부록이 추가되어 개정판으로 나왔다.
쇼펜하우어. 《자연에서의 의지에 관하여》. 김미영 옮김. 아카넷, 2012.
쇼펜하우어. 《도덕의 기초에 관하여》. 김미영 옮김. 책세상, 2019
쇼펜하우어. 《토론의 법칙》. 최성욱 옮김. 원앤원북스. 2016.
쇼펜하우어. 《쇼펜하우어의 행복론과 인생론》. 홍성광 옮김. 을유문화사, 2009. - 일부만 번역된 편역본이다.
쇼펜하우어. 《쇼펜하우어의 철학적 인생론》. 권기철 옮김. 동서문화사, 2016. - 편역본이며 내용에 오류가 약간있으나 무시하고 읽어도 지장없으며 책값이 매우 저렴하고 읽을거리가 많아 쇼펜하우어를 공부하는 초심자에게 추천할 만하다. 쇼펜하우어가 독일어 편역한 스페인의 발타자르 그라시안의 격언집이 첨부되어 있다.
쇼펜하우어. 《쇼펜하우어의 문장론》. 김욱 옮김. 지훈, 2005. - 쇼펜하우어의 <소품과 부록>에서 글쓰기 및 비평에 관한 부분만 솎아낸 책이며 일본어 중역서이지만 추천할 만하다.
헬런 짐먼. 《쇼펜하우어 평전》. 김성균 옮김. 우물이있는집, 2016(원서는 1876년 출판).
뤼디거 자프란스키 《쇼펜하우어》(부제:쇼펜하우어와 철학의 격동시대). 정상원 옮김. 이화북스. 2020(원서는 1987년 출판. 2018년에 나온 꿈결 출판사의 "쇼펜하우어 전기" 판본은 절판되었다.). 쇼펜하우어 평전으로서 걸작으로 꼽힌다.
쇼펜하우어. 《당신의 인생이 왜 힘들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김욱 편역. 포레스트북스, 2023.
Tags:
PHI 철학
댓글 쓰기
0 댓글